소상공인은
우리나라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경제주체입니다

2019년 전국사업체 조사에 따르면

10인 미만 소상공인 사업체는
전국 사업체 중 85%를 차지하고 있으며,

0 %

소상공인 사업체

0 %

소상공인 점포

소상공인 사업체 종사자 수는
우리나라 전체 종사자 수의 4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0 %

소상공인 사업체 종사자

그러나 2019년부터 우리 사회가 경험했던 코로나 19 위기는
우리 사회의 소상공인이 얼마나 외부 충격에 약하며
동시에 중요한 경제적 주체인지 보여주었습니다.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변한 소비자의 소비패턴 변화와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거리두기 정책은
소상공인의 소득을 낮추었습니다.

코로나19 위기는 어느정도 해소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소상공인에게 더 큰 위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현재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 기술 변화와
이 기술 변화가 가져올 사회경제적 변화는
소상공인을 더욱 약자로 만들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경제적 변화가 소상공인에게
어떤 구체적 영향을 미칠 지에 관한 연구는 드물고,

우리 사회와 정책은 어떻게 하면 소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더 빨리 더 나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획득할 수 있을 지에만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필요성을 직시하고 저희 연구센터는 다음과 같은 비전과 함께 연구 목표를 세웠습니다.

VISION

빅데이터/AI 시대 모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사회

MISSION

학제간 융합 연구를 통한 소상공인 생태계의 이해와

첨단기술 및 산업에서 소외되는 소상공인을 위한

관련 정책 수립 지원

저희 연구센터는 빅데이터 및 AI 시대, 기술진보의 혜택을 모두가 볼 수 있는 사회라는 비전을 가지고
소상공인 경제생태계를 깊이 이해하고 이를 통해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 제언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사이언스,
물류 및 교통, 그리고
고용 및 노동 분야를
융합전략분야로 삼고

Group 75

추진목표

복잡계네트워크 기반의
마이크로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 및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로봇, AI 기술변화와
소상공인의 수요측/공급측
변화 예측 및 공진화 분석

자율주행차, 신개념 항공기
상용화와 소상공인의
수요측/공급측 변화 예측 및
도시 공간 변화 분석

소상공인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